소화기계 : 드물게 상복부통증이 나타나며 이는 복용을 중지하며 구역, 구토, 변비, 위장관장애, 구갈 식욕부족, 식도염 등 다양한 범위에서 나타납니다.
과민증 : 발진, 가려움, 광과민증 등과 아나필락시스양 반응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피부 : 홍반, 두드러기, 혈관부종, 수포성발진 등이 관찰됬습니다.골격근 : 하지경련, 염증, 관절경직, 근육통, 근경력, 관절통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구강 : 치은비후가 나타날 수 있으며 치은염, 잇몸증식증, 잇몸장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대사이상 : 고혈당 및 체중감소가 관찰됨그 외에도 여성형 유방, 시각장애, 안통 등이 나타나며 이러한 때는 복용을 중다합니다.
일반적으로는 칼슘길항제의 경우 천천히 복용을 중단하며, 어지러움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복용 후 30분 이내에 흉통이 나타나면 즉시 중지하며 약 병용투여시에는 전문가와의 충분한 상의와 상호작용을 확인하셔야 합니다.
임부금기<임부 및 수유부>기형발생 및 배태자 독성이 보고되어 임부 및 가능성 있는 환자에게는 투여를 금지합니다.모유 중에도 해당 약에 대한 이행이 보고되어, 수유중인 부인에는 투여를 하지 않습니다.
<소아 투여>18세 미만의 소아는 안전성과 유효성이 확립되지 않아 약의 투여가 권장되지 않습니다.
<고령자 투여>저용량으로 투여를 시작하며 상태를 관찰하도록 합니다.
<과량투여시>중독 시에는 의식장애, 혈압강화, 저산소증 및 심인성쇼크등이 관찰되었습니다.경구 투여시에는 위세척 및 소장의 자극을 진행하며, 약의 완전한 제거가 필요합니다.서맥성 심박동장애는 일시적인 심박동조율기를 이용한 치료를 권장하며 저혈압의 경우 칼슘으로 치료 가능합니다.
이 외에도 혈중 농도가 상승이 발생 가능한 쥬스와는 함께 투여하지 않으며, 복용 시에는 분쇄 및 깨물어서 복용하면 안됩니다.
분변에서 정제와 비슷하게 나와도 큰 걱정은 안하셔도 되며, 심한 위장관 협착이 있을경우 폐색이 이어질 수 있으므로 복용을 금지합니다. 또한 빛에 민감한 주성분이 있으므로 포장 관리에 신경을 써야합니다.